레이블이 리눅스 cat 명령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리눅스 cat 명령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4. cat

안녕하세요, MJ 입니다.

cat 명령어는 일반 파일을 터미널상에 출력하는 명령어 입니다.

cat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at 명령어의 도움말을 먼저 확인하고 자주 사용되는 옵션과  cat 명령어 사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도움말

펼치기/접기

옵션 설명

-A: -vET 옵션과 같습니다.
-b: 빈줄에는 줄번호를 매기지 않습니다.
-e: -vE 옵션과 같습니다.
-E: 라인의 끝을 $ 문자로 표시합니다.
-n: 줄번호를 표시합니다.
-s: 반복적 인 빈 출력 라인을 억제합니다.
-t: -vT 옵션과 같습니다.
-T: 탭 문자를 ^T  로 대체하여 표시합니다.
-v: 엔터와 탭 문자를 보이도록 하지 않고, 라인의 끝에 윈도우의 줄바꿈문자(캐리지리턴:CR)
     를 보여줍니다.

캐리지 리턴 설명

키보드의 'Enter' 키에 그림을 보면,
아래로 가다가 왼쪽으로 꺾여있는 화살표가 그려져 있습니다.

엔터를 누르게 되면 아래로 가는 동작을 한 뒤에, 왼쪽으로 가는 동작을 한다는 뜻 입니다.
이는 윈도우에서의 동작으로 엔터 한번 입력에 두가지의 동작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리눅스에서는 엔터가 아래로 한번만 동작합니다.
리눅스 에서도 윈도우와 같이 아래로 간 다음 왼쪽으로 가면 문제가 없겠지만,
리눅스와 윈도우에서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 달라, 윈도우와 리눅스는
그 순서가 바뀌게 됩니다. 리눅스에서는 왼쪽으로 먼저 간 다음, 아래로 가도록 동작하게 되어
내가 입력 한 모든 문자가 모두 지워지고 아래로 가게 됩니다.
(리눅스-리틀엔디안,윈도우-빅엔디안 차이)

그래서 텍스트 파일을 vi 로 열어보거나 하면 잘 보이긴 하지만, cat 이나, 스크립트 작성에서
파일을 실행 할때에는 작성자가 원하는대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어, 리눅스에서는 이 줄바꿈 문자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리하여 리눅스에서는 줄바꿈 문자를 LF (Line Feed)
윈도우에서의 줄바꿈문자는 CRLF 로 표현 합니다.
(Carriage Return)


모든 옵션에 대해 실습을 하지는 않지만, 다음 내용에 대해 실습을 하신다면 리눅스 엔지니어로 일 하시는 중에도 전혀 불편함 없이 사용 하실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시작합니다.

 

1. 리눅스 파일 출력

cat 명령어 뒤에 파일 이름을 주면 파일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run-linux cat]$ ls -l
total 12
-rw-r--r-- 1 root root 18 Sep 24 15:11 A_file
-rw-r--r-- 1 root root 18 Sep 24 15:11 B_file
-rw-r--r-- 1 root root 18 Sep 24 15:11 C_file
[run-linux cat]$ cat A_file
A_file: testprint
[run-linux cat]$ cat A_file B_file
A_file: testprint
B_file: testprint
[run-linux cat]$ cat A_file B_file C_file
A_file: testprint
B_file: testprint
C_file: testprint

내 리눅스 서버, 대체 뭐가 문제야?

내 리눅스 서버, 대체 뭐가 문제야?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서버가 버벅거릴 때,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서버의 성능 저하 원인을 찾는 것은 시스템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에요. CPU, 메모리 사용량부터 수상한 프로...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