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버추얼박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버추얼박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7. OS 설치 후 설정 변경(Rocky Linux - 9.4 )

안녕하세요, MJ 입니다.

OS 설치 설정한 다음 내용에 대해 변경이 필요한 상황을 가정하고, 변경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설정 메뉴]

  1. root 계정 설정
  2. 일반유저 생성
  3. 타임존
  4. 패키지 꾸러미 선택
  5. 파티셔닝
  6. 네트워크

 

 

[변경이 필요한 설정 목록]

1. root 계정 설정

  • root 계정의 패스워드 변경



2. 일반유저 생성
  • 유저의 패스워드 설정 변경

     
  • 유저의 추가그룹 제거

 






3. 타임존
  • 타임 변경


    4. 패키지
    꾸러미 선택
  • 추가로 패키지 꾸러미를 설치



    5. 파티셔닝
  • 파티션을 수정 하려면 기존 생성 되어있는 파티션이 변경이 가능한 파티션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수정이 가능한 파티션이 있고, 수정이 불가능하여 OS 다시 설치해야 수정할 있는 파티션이 존재합니다.

 

>>> 현재 이 시스템에는 3개의 파티션이 존재합니다. 이 3개의 파티션 중 SWAP 은 필수 파티션이

      아니어서 제거가 가능하고, 마침 root 파티션과 swap 파티션이 LVM 이기때문에

      swap 파티션을 제거 하고, 2G의 용량을 root 파티션으로 증설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6. 네트워크

  • IP 변경, 라우팅테이블 추가
    >>> 현재는 NAT 인터페이스만 장착이 되어있고, DHCP 요청으로 IP를 빌려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8버전의 OS부터는 NetworkManager 를 기본 사용하게 되기때문에 nmcli 명령어를 수행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 호스트명 변경
    >>> 현재의 myhost 호스트명을 yourhost 로 변경해보겠습니다.
     
    >>> 호스트명 을 확인하고, 변경하는 명령을 수행 한 뒤, 변경된 호스트명을 확인.


    >>> 호스트명이 변경되었지만, 로그는 계속해서 이전 호스트명으로 기록됨.


    >>> rsyslog 서비스를 다시 구동시킨 뒤 로그에 변경된 호스트명 적용을 확인.


    프롬프트의 호스트명은 로그인을 다시 하면 적용됩니다.

 


 

 

 

 

설정 변경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OS를 설치 후에 시스템의 정보 확인하는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내 리눅스 서버, 대체 뭐가 문제야?

내 리눅스 서버, 대체 뭐가 문제야?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서버가 버벅거릴 때,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서버의 성능 저하 원인을 찾는 것은 시스템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에요. CPU, 메모리 사용량부터 수상한 프로...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