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의 커널 모듈 관리하기 안녕하세요, mj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에서 커널 모듈을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커널 모듈은 리눅스 커널의 기능을 확장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커널 모듈을 로드하고, 언로드하며, 몇 가지 유용한 예제를 통해 사용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커널 모듈이란? 커널 모듈은 리눅스 커널의 기능을 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코드 조각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거나 새로운 하드웨어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커널 모듈 로드하기 커널 모듈을 로드하는 명령어는 modprobe 와 insmod 입니다. 두 명령어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modprobe : 의존성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모듈을 로드합니다. insmod : 특정 모듈만 로드하며, 의존성을 수동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예제: 모듈 로드 다음은 dummy 라는 테스트용 모듈을 로드하는 예제입니다. sudo modprobe dummy 결과: dummy: loaded successfully. 커널 모듈 언로드하기 모듈을 언로드할 때는 rmmod 와 modprobe -r 를 사용합니다. modprobe -r 는 의존성을 고려하여 모듈을 언로드합니다. 예제: 모듈 언로드 다음은 dummy 모듈을 언로드하는 예제입니다. sudo rmmod dummy 결과: dummy: unloaded successfully. 커널 모듈 상태 확인하기 현재 로드된 모듈을 확인하려면 lsmo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예제: 로드된 모듈 확인 다음은 현재 로드된 모듈을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lsmod | grep dummy 결과: dummy 16384 0 모듈 정보 확인하기 모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려면 modinfo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예제: 모듈 정보 확인 다음은 dummy 모듈의 정보를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modinfo dummy 결과: filename: ...
안녕하세요, MJ 입니다.
history 명령어에 대한 설명과 설정 방법을 작성 합니다.
history
: 로그인 한 계정에서 입력한 명령어들의 지난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다음은 history 명령어 수행 결과입니다.
이렇게 결과를 확인 해볼 수 있지만,
언제 수행 된 명령어인지 확인이 되지 않는 부분이 아쉽습니다.
history 에서 시간을 저장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변수 설정을 통해 가능하게 됩니다.
변수의 이름은 HISTTIMEFORMAT 으로 /etc/bashrc 에 설정하여
시스템 전체에 설정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root]# vi /etc/bashrc
...(생략)...
export HISTSIZEFORMAT='%Y-%m-%d %H:%M:%S '
이렇게 날짜와 시간이 함께 확인됩니다.
추가로 history 저장 개수를 설정 할 수 있는데, 기본설정으로는 1000개가 설정 되어있고
저장 개수를 수정하여 더 많은 명령어 history 를 저장 할 수 있습니다.
역시 변수로 설정이 되고, 변수의 이름은 HISTSIZE 입니다.
[root]# vi /etc/bashrc
...(생략)...
export HISTSIZE=1000000
이렇게 설정 할 수 있습니다.
history 를 위한 OS 설정은 이정도로 하고,
history 결과 중 제거하고싶은 명령어가 있는 경우, 특정 history 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history 중에 패스워드가 저장 되어있어 제거가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이 제거를 해볼 수 있습니다.
[root]# history
...(생략)...
100 echo '패스워드' | passwd --stdin root
...(생략)...
[root]# history -d 100
모든 history 를 제거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c 옵션을 사용하여 모두 제거 할 수 있습니다.
[root]# history -c
[root]# history
1 history
문의사항은 댓글을 달아 주시면 성심껏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