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top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top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리눅스 메모리 관리: free와 top 명령어 활용하기

리눅스에서의 메모리 관리: free와 top

안녕하세요, mj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freetop 명령어를 중심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이 두 가지 도구는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1. free 명령어

free 명령어는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사용 중인 메모리와 사용 가능한 메모리의 양을 알 수 있습니다.

예시 1: free 명령어 기본 사용법

free -h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메모리 사용량이 인간이 읽기 쉽게 표시됩니다.

출력 예시:


               총 메모리:  16G
               사용 중:    8G
               여유:      7G
               버퍼/캐시:  1G
    

예시 2: 메모리 사용량 상세 확인

free -m

메모리 사용량을 메가바이트 단위로 표시합니다.

출력 예시:


               총 메모리:  16384
               사용 중:    8192
               여유:      7168
               버퍼/캐시:  1024
    

예시 3: 매 초마다 메모리 상태 확인

watch free -h

매 초마다 메모리 상태를 갱신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top 명령어

top 명령어는 시스템의 프로세스와 메모리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실행 중인 프로세스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1: top 명령어 기본 사용법

top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실시간으로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출력 예시:


    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CPU %MEM     TIME+ COMMAND
      1 root      20   0  168456   5000   4000 S   0.0  0.0   0:00.01 systemd
    

예시 2: 특정 프로세스 필터링

top -p 

특정 프로세스 ID를 통해 해당 프로세스의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합니다.

예시 3: 메모리 사용량 정렬

top 실행 후 M 키를 눌러 메모리 사용량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3. free와 top 명령어 비교

이 두 명령어는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free는 메모리의 전체 사용량을 간단히 보여주는 반면, top는 각 프로세스의 메모리 사용량과 CPU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 따라서, 메모리 관리에 있어 두 도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결론적으로, 리눅스에서 메모리 관리는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freetop 명령어를 통해 메모리 사용 현황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리눅스에서의 메모리 관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리눅스성능튜닝모니터링방법


안녕하세요, mj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시스템의 성능 모니터링 및 튜닝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면서 성능 저하 문제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모니터링 도구와 튜닝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op`, `htop`, `iotop`와 같은 유용한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시스템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튜닝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성능 모니터링의 중요성

시스템 성능 모니터링은 리소스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병목 현상이나 비효율적인 자원 사용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서버의 안정성과 응답 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도구를 사용하여 CPU, 메모리, 디스크 I/O, 네트워크 등의 상태를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2. top 명령어 사용법

`top`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리소스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기본적으로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량,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목록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p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top 명령어 수행
[top 명령어 수행]



화면 상단에는 시스템의 CPU 및 메모리 사용량이 표시되며, 하단에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이 나옵니다. 각 프로세스에 대한 CPU 및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싶다면 'k'를 입력한 후 프로세스 ID를 입력하면 됩니다.

3. htop 명령어 사용법

`htop`는 `top`의 더 발전된 형태로,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htop`를 사용하면 프로세스 관리가 더 용이하며, 마우스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종료할 수 있습니다. 설치는 다음과 같이 진행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htop

설치 후, `htop`을 실행합니다:

htop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htop 명령어 수행
[htop 명령어 수행]


색상으로 CPU, 메모리, 스왑 메모리 사용량이 표시되며, 각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F9' 키를 눌러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고, 'F3' 키로 검색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iotop 명령어 사용법

`iotop`은 현재 진행 중인 I/O 작업을 모니터링하는 도구로, 어떤 프로세스가 디스크 I/O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설치는 다음과 같이 진행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iotop

설치 후, `iotop`을 실행합니다:

sudo iotop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iotop 명령어 수행
[iotop 명령어 수행]


이 화면에서는 현재 디스크 I/O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프로세스가 얼마나 많은 I/O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디스크 I/O가 병목 현상을 일으키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5. 성능 튜닝 방법

성능 모니터링을 통해 발견한 문제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튜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성능 튜닝 방법입니다:

  • CPU 우선순위 조정: `nice`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우선순위를 높이면 CPU 자원을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ice -n 10 <명령어>
  • 메모리 조정: 리눅스에서는 스와핑이 발생하지 않도록 메모리 설정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wappiness` 값을 조정하여 스왑 사용 비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echo 10 | sudo tee /proc/sys/vm/swappiness
  • 디스크 I/O 최적화: 디스크 성
    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noatime` 옵션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메타데이터 업데이트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etc/fstab 파일을 수정하여 적용합니다.

6. 결론

리눅스 성능 튜닝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top`, `htop`, `iotop`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발견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튜닝 작업을 수행해 보세요. 이를 통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리눅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내 리눅스 서버, 대체 뭐가 문제야?

내 리눅스 서버, 대체 뭐가 문제야?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서버가 버벅거릴 때,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서버의 성능 저하 원인을 찾는 것은 시스템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에요. CPU, 메모리 사용량부터 수상한 프로...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