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 마운트하기: 쉽고 간단한 방법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 마운트하기 안녕하세요, mj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는 것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필수적인 작업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외부 저장 장치나 다른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1. 파일 시스템 마운트란? 파일 시스템 마운트는 특정 디렉토리에 다른 파일 시스템을 연결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해당 파일 시스템의 파일을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2. 마운트하기 전 준비사항 마운트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할 장치와 마운트 포인트를 준비해야 합니다. 마운트 포인트는 파일 시스템이 연결될 디렉토리입니다. 예를 들어, /mnt/mydrive와 같은 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파일 시스템 마운트하기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는 기본적인 명령어는 mount 입니다. 다음은 그 사용 예시입니다: sudo mount /dev/sdb1 /mnt/mydrive 위 명령어는 /dev/sdb1 장치를 /mnt/mydrive 디렉토리에 마운트합니다. 만약 해당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먼저 생성해야 합니다: sudo mkdir /mnt/mydrive 3.1. 마운트 결과 확인하기 마운트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려면 df -h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명령어는 현재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df -h 4. 예시: 다양한 마운트 옵션 마운트 시 다양한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예시입니다: 4.1.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하기 sudo mount -o ro /dev/sdb1 /mnt/mydrive 4.2. 특정 파일 시스템 형식으로 마운트하기 sudo mount -t ntfs /dev/sdb1 /mnt/mydrive 4...

6. df

안녕하세요, MJ 입니다.

df 명령어에 대해 작성 해 봅니다.

: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df 명령어 결과를 확인 해 보겠습니다.

* df 명령어 수행결과

[df 명령어 수행결과]

 : 명령어 수행 결과에서 여러가지 정보가 확인됩니다.

필드명 설명
Filesystem 마운트 장치
1K-blocks 파티션의 크기
Used 사용된 용량
Available 사용할 수 있는 용량
Use% 사용된 용량의 백분율
Mounted on 마운트 된 디렉토리

옵션 없이 df 명령어 수행 결과에서 확인되는 필드의 설명 입니다. 

외에도 -T 옵션을 추가하면 파일시스템 타입이 기록되는 Type 필드가 추가로 확인됩니다.


도움말 입니다.

<[root@run-linux ~]# df --help
Usage: df [OPTION]... [FILE]...
Show information about the file system on which each FILE resides,
or all file systems by default.

Mandatory arguments to long options are mandatory for short options too.
  -a, --all             include pseudo, duplicate, inaccessible file systems
         : 중복 또는 액세스 할 수 없는 파일시스템을 포함하여 모두 확인 합니다.

  -B, --block-size=SIZE  scale sizes by SIZE before printing them; e.g.,
                           '-BM' prints sizes in units of 1,048,576 bytes;
                           see SIZE format below
         : -BM (메가바이트), -BG (기가바이트), -BK (키로바이트), -B1000 (1000바이트단위)
          출력되는 용량의 단위를 지정합니다.


      --direct          show statistics for a file instead of mount point

  -h, --human-readable  print sizes in powers of 1024 (e.g., 1023M)
         : 사람이 읽기 좋은 형태로 출력됩니다.

  -H, --si              print sizes in powers of 1000 (e.g., 1.1G)
         : 고정 단위가 아니라 크기에 맞게 단위를 표시하고 읽기 좋은 형태로 출력됩니다.

  -i, --inodes          list inode information instead of block usage
         : 아이노드 사용량이 표시됩니다.

  -k                    like --block-size=1K
        : 키로바이트 단위로 사용량이 표시됩니다.

  -l, --local           limit listing to local file systems
        : 로컬 장치만 출력합니다.

      --no-sync         do not invoke sync before getting usage info (default)
      --output[=FIELD_LIST]  use the output format defined by FIELD_LIST,
                               or print all fields if FIELD_LIST is omitted.
  -P, --portability     use the POSIX output format
        : 한 줄로 출력됩니다.

      --sync            invoke sync before getting usage info
      --total           elide all entries insignificant to available space,
                          and produce a grand total
  -t, --type=TYPE       limit listing to file systems of type TYPE
        : 지정한 파일시스템만 출력.

  -T, --print-type      print file system type
        : 파일시스템 이름을 함께 출력.

  -x, --exclude-type=TYPE   limit listing to file systems not of type TYPE
        : 출력에서 제외 할 파일시스템을 지정.

  -v                    (ignored)
      --help     display this help and exit
      --version  output version information and exit

Display values are in units of the first available SIZE from --block-size,
and the DF_BLOCK_SIZE, BLOCK_SIZE and BLOCKSIZE environment variables.
Otherwise, units default to 1024 bytes (or 512 if POSIXLY_CORRECT is set).

The SIZE argument is an integer and optional unit (example: 10K is 10*1024).
Units are K,M,G,T,P,E,Z,Y (powers of 1024) or KB,MB,... (powers of 1000).
Binary prefixes can be used, too: KiB=K, MiB=M, and so on.

FIELD_LIST is a comma-separated list of columns to be included.  Valid
field names are: 'source', 'fstype', 'itotal', 'iused', 'iavail', 'ipcent',
'size', 'used', 'avail', 'pcent', 'file' and 'target' (see info page).

GNU coreutils online help: <https://www.gnu.org/software/coreutils/>
Full documentation <https://www.gnu.org/software/coreutils/df>
or available locally via: info '(coreutils) df invocation'


df 명령어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문의사항은 댓글을 달아 주시면 성심껏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

MJ. 로또의 회차별 당첨번호 API 확인 (예제포함)

안녕하세요, MJ 입니다.   로또 당첨번호를 확인하기위해 동행복권 사이트를 찾아 가거나,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을 할 수 있지만, 다음 주소를 브라우저에 붙여넣거나, curl 명령을 이용하여 터미널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소개를 드리려고 합니다.     < URL> https://www.dhlottery.co.kr/common.do?method=getLottoNumber&drwNo= < 회차번호 >     - API 주소 활용 방법 브라우저에 URL 입력하여 확인 .           >> 인터넷 주소창에 URL 을 입력       ( 윈도우 ) cmd / ( 리눅스 ) bash 터미널에서 curl 을 사용하여 확인 .( 예 : 123 회차 ) >> curl " https://www.dhlottery.co.kr/common.do?method=getLottoNumber&drwNo= 123 " <cmd>   <bash>         python/java/c 등 코드를 만들어서 확인 . >> 코드를 짜서 확인하는 것이 , 데이터를 가공하기도 좋고 , 앞으로 출현할 숫자를 분석하기도 좋지만 , 자신이 원하는 대로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필요함 .       [ (API 결과 예시 ) 123 회차 조회결과 ] >> json 형식으로 공백 , 줄바꿈이 없이 순서도 제멋대로 확인되지만 (브라우저나 터미널에서 확인하면),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확인됨 .   <확인한 정보 줄맞춰봄> #######...

5. 버추얼박스:설정 (+네트워크의 종류 설명)

안녕하세요 , MJ 입니다 .   우리가 실습을 하는데에 필요한 버추얼박스의 설정에 대해 설명을 합니다 .     버추얼 박스의 설정에는 종류별로 메뉴가 구분되어있습니다 . 1-1. 환경설정 1-2. 네트워크 설정 1-3. 미디어 설정       다른 설정도 존재하지만 , 필요한 일이 없을것이 예상되고 , 위 3 가지 설정에 대해서만 알고 계신다면 버추얼 박스로 실습을 하는데에 아무런 지장이 없고 또 취업을 하신 뒤에 실무에 가셔서도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   환경설정 부터 확인하겠습니다 . 1-1. 환경설정 : 우리가 알아야 편한 내용은 2 가지가 있는데 VM 의 기본 저장경로 설정 " 파일 (F)" 의 환경설정 (P) … [ 단축키 : Ctrl+G] 을 누르면 환경설정 창이 보이고 , 제일먼저 확인되는 기본 머신 폴더 (M) 입니다 . VM 을 저장 할 경로를 지정하는 것인데 VM 은 가상 머신으로 디스크의 용량과는 상관없이 , 가상 컴퓨터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 텍스트 파일형태로 저장되어있고 , 그 내용에는 CPU 를 몇개 사용하도록 되어있는지 , 메모리는 얼마만큼을 할당하도록 되어있는지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몇 개가 어떻게 설정되어있는지 ... 등 가상의 컴퓨터를 정의하는 내용의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가 되고 ,   디스크 파일은 별도 미디어 설정에서 관리가 되지만 VM 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만든 디스크는 VM 저장경로에 함께 생성 되어있어 사용자가 파일탐색기로 경로를 찾아가보면 파일의 사이즈로 아 이것이 디스크 파일인가보구나 하고 알 수 있습니다 .( 용량이 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