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리눅스에서 커널 모듈 관리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커널 모듈 관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mj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에서 커널 모듈을 로드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커널 모듈은 리눅스 커널의 기능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커널 모듈의 기본 개념, 로드 및 언로드 방법, 그리고 예시를 통해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커널 모듈이란? 커널 모듈은 리눅스 커널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코드 조각입니다. 모듈은 필요할 때만 메모리에 로드되어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드라이버나 파일 시스템을 모듈로 구현하여 시스템을 더욱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커널 모듈 로드 및 언로드 커널 모듈을 로드하고 언로드하는 주된 명령어는 modprobe 와 rmmod 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사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모듈 로드 모듈을 로드할 때는 modprob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dummy 라는 테스트 모듈을 로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sudo modprobe dummy 이렇게 하면 dummy 모듈이 커널에 로드됩니다. 로드된 모듈은 lsmod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smod | grep dummy 모듈 언로드 모듈을 언로드할 때는 rmmo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dummy 모듈을 언로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sudo rmmod dummy 언로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려면 다시 lsmod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커널 모듈 관리 이제 실제 예시를 통해 커널 모듈을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아래는 각각의 목적에 따라 다섯 가지 예시를 제공합니다. 예시 1: 모듈 로드 확인 sudo modprobe dummy lsmod | grep dummy 출력 결과: dummy 16384 0 예시 2: 모듈 언로드 확인 sudo rmmod dummy lsmod |...

리눅스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 성능 최적화를 위한 필수 가이드

리눅스에서의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

안녕하세요, mj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에서 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도구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1. top

top 명령어는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프로세스와 자원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량, 프로세스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p

출력 예시:


top - 15:30:01 up  2:36,  2 users,  load average: 0.00, 0.01, 0.05
Tasks: 124 total,   1 running, 123 sleeping,   0 stopped,   0 zombie
%Cpu(s):  1.0 us,  0.5 sy,  0.0 ni, 98.0 id,  0.5 wa,  0.0 hi,  0.0 si,  0.0 st
MiB Mem :   7972.0 total,   1320.0 free,   1945.0 used,   5657.0 buff/cache

2. htop

htoptop의 확장판으로, 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등의 작업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htop

출력 예시:


  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CPU %MEM     TIME+ COMMAND
  1234 mj        20   0  162928  12232   8596 S   0.7  0.2   0:00.01 bash

3. vmstat

vmstat는 시스템의 메모리, 프로세스, 입출력, CPU 활동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주기적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vmstat 1 5

출력 예시:


procs ----------- memory---------- --- swap-- ----- io---- system-- ----- cpu-----
 r  b   swpd   free   buff  cache   si   so    bi    bo   in    cs us sy id wa st
 1  0      0 132000  34256  56912    0   0     0     0   22   20  1  2 97  0  0

4. iostat

iostat는 CPU와 I/O 장치의 통계를 제공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디스크의 사용량과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iostat -xz 1

출력 예시:


Device:         rrqm/s   wrqm/s     r/s     w/s   rsec/s   wsec/s avgrq-sz avgqu-sz await svctm %util
sda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5. netstat

netstat는 네트워크 연결,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통계 등을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netstat -tuln

출력 예시: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      0 0.0.0.0:22            0.0.0.0:*             LISTEN

결론

리눅스에서의 시스템 모니터링은 서버의 성능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위에서 소개

댓글

가장 많이 본 글

5. 버추얼박스:설정 (+네트워크의 종류 설명)

안녕하세요 , MJ 입니다 .   우리가 실습을 하는데에 필요한 버추얼박스의 설정에 대해 설명을 합니다 .     버추얼 박스의 설정에는 종류별로 메뉴가 구분되어있습니다 . 1-1. 환경설정 1-2. 네트워크 설정 1-3. 미디어 설정       다른 설정도 존재하지만 , 필요한 일이 없을것이 예상되고 , 위 3 가지 설정에 대해서만 알고 계신다면 버추얼 박스로 실습을 하는데에 아무런 지장이 없고 또 취업을 하신 뒤에 실무에 가셔서도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   환경설정 부터 확인하겠습니다 . 1-1. 환경설정 : 우리가 알아야 편한 내용은 2 가지가 있는데 VM 의 기본 저장경로 설정 " 파일 (F)" 의 환경설정 (P) … [ 단축키 : Ctrl+G] 을 누르면 환경설정 창이 보이고 , 제일먼저 확인되는 기본 머신 폴더 (M) 입니다 . VM 을 저장 할 경로를 지정하는 것인데 VM 은 가상 머신으로 디스크의 용량과는 상관없이 , 가상 컴퓨터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 텍스트 파일형태로 저장되어있고 , 그 내용에는 CPU 를 몇개 사용하도록 되어있는지 , 메모리는 얼마만큼을 할당하도록 되어있는지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몇 개가 어떻게 설정되어있는지 ... 등 가상의 컴퓨터를 정의하는 내용의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가 되고 ,   디스크 파일은 별도 미디어 설정에서 관리가 되지만 VM 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만든 디스크는 VM 저장경로에 함께 생성 되어있어 사용자가 파일탐색기로 경로를 찾아가보면 파일의 사이즈로 아 이것이 디스크 파일인가보구나 하고 알 수 있습니다 .( 용량이 크고 ...

MJ. 로또의 회차별 당첨번호 API 확인 (예제포함)

안녕하세요, MJ 입니다.   로또 당첨번호를 확인하기위해 동행복권 사이트를 찾아 가거나,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을 할 수 있지만, 다음 주소를 브라우저에 붙여넣거나, curl 명령을 이용하여 터미널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소개를 드리려고 합니다.     < URL> https://www.dhlottery.co.kr/common.do?method=getLottoNumber&drwNo= < 회차번호 >     - API 주소 활용 방법 브라우저에 URL 입력하여 확인 .           >> 인터넷 주소창에 URL 을 입력       ( 윈도우 ) cmd / ( 리눅스 ) bash 터미널에서 curl 을 사용하여 확인 .( 예 : 123 회차 ) >> curl " https://www.dhlottery.co.kr/common.do?method=getLottoNumber&drwNo= 123 " <cmd>   <bash>         python/java/c 등 코드를 만들어서 확인 . >> 코드를 짜서 확인하는 것이 , 데이터를 가공하기도 좋고 , 앞으로 출현할 숫자를 분석하기도 좋지만 , 자신이 원하는 대로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필요함 .       [ (API 결과 예시 ) 123 회차 조회결과 ] >> json 형식으로 공백 , 줄바꿈이 없이 순서도 제멋대로 확인되지만 (브라우저나 터미널에서 확인하면),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확인됨 .   <확인한 정보 줄맞춰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