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리눅스 시스템 부팅 과정 이해하기 - mj의 블로그

리눅스 시스템 부팅 과정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mj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팅 과정은 컴퓨터가 켜질 때 운영 체제를 로드하고 실행하는 복잡한 절차입니다. 이 과정은 여러 단계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들이 존재합니다. 1. BIOS/UEFI 부팅의 첫 단계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또는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입니다. 이들은 하드웨어 초기화 및 부팅 장치를 탐색하는 역할을 합니다. BIOS는 오래된 기술로, UEFI는 더 현대적인 대안입니다. 예를 들어, UEFI는 GUI를 지원하고 더 큰 하드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BIOS와 UEFI의 차이점 BIOS는 16비트 모드, UEFI는 32/64비트 모드 BIOS는 MBR(Master Boot Record) 기반, UEFI는 GPT(Guid Partition Table) 지원 BIOS는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 UEFI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지원 BIOS는 부팅 속도가 느림, UEFI는 빠른 부팅 가능 BIOS는 드라이버가 필요, UEFI는 내장된 드라이버 사용 2. 부트 로더 다음 단계는 부트 로더입니다. 리눅스에서는 GRUB(Grand Unified Bootloader)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부트 로더는 커널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 GRUB의 설정 파일 # /boot/grub/grub.cfg 예시 set default=0 set timeout=5 menuentry '리눅스 5.4.0' { linux /vmlinuz-5.4.0 root=/dev/sda1 initrd /initrd.img-5.4.0 } 3. 커널 부트 로더...

리눅스에서 DNS 설정 및 관리 방법

안녕하세요, mj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에서 DNS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에서 DNS란?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 리눅스에서 DNS 설정은 웹사이트 운영이나 네트워크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DNS 서버 설치하기

리눅스에서 DNS 서버를 설치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세요:

sudo apt-get install bind9

설치가 완료되면 /etc/bind/named.conf.options 파일을 수정하여 DNS 서버의 옵션을 설정합니다.

2. DNS 레코드 설정하기

DNS 레코드는 도메인의 IP 주소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A 레코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example.com. IN A 192.0.2.1

위의 설정은 example.com 도메인을 192.0.2.1 IP 주소에 매핑합니다.

3. 예시: 다양한 DNS 레코드

아래는 다양한 목적별 DNS 레코드의 예시입니다:

  • A 레코드: example.com. IN A 192.0.2.1
  • AAAA 레코드: example.com. IN AAAA 2001:db8::1
  • CNAME 레코드: www.example.com. IN CNAME example.com.
  • MX 레코드: example.com. IN MX 10 mail.example.com.
  • TXT 레코드: example.com. IN TXT "v=spf1 include:_spf.example.com ~all"

4. DNS 서비스 재시작

DNS 설정을 변경한 후에는 서비스를 재시작해야 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세요:

sudo systemctl restart bind9

5. DNS 설정 확인하기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dig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ig example.com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DNS 레코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리눅스에서 DNS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은 네트워크의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DNS 서버를 설치하고, 레코드를 설정하며, 서비스 재시작 및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DNS 설정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 네트워크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 리눅스에서 DNS 설정을 마스터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

5. 버추얼박스:설정 (+네트워크의 종류 설명)

안녕하세요 , MJ 입니다 .   우리가 실습을 하는데에 필요한 버추얼박스의 설정에 대해 설명을 합니다 .     버추얼 박스의 설정에는 종류별로 메뉴가 구분되어있습니다 . 1-1. 환경설정 1-2. 네트워크 설정 1-3. 미디어 설정       다른 설정도 존재하지만 , 필요한 일이 없을것이 예상되고 , 위 3 가지 설정에 대해서만 알고 계신다면 버추얼 박스로 실습을 하는데에 아무런 지장이 없고 또 취업을 하신 뒤에 실무에 가셔서도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   환경설정 부터 확인하겠습니다 . 1-1. 환경설정 : 우리가 알아야 편한 내용은 2 가지가 있는데 VM 의 기본 저장경로 설정 " 파일 (F)" 의 환경설정 (P) … [ 단축키 : Ctrl+G] 을 누르면 환경설정 창이 보이고 , 제일먼저 확인되는 기본 머신 폴더 (M) 입니다 . VM 을 저장 할 경로를 지정하는 것인데 VM 은 가상 머신으로 디스크의 용량과는 상관없이 , 가상 컴퓨터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 텍스트 파일형태로 저장되어있고 , 그 내용에는 CPU 를 몇개 사용하도록 되어있는지 , 메모리는 얼마만큼을 할당하도록 되어있는지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몇 개가 어떻게 설정되어있는지 ... 등 가상의 컴퓨터를 정의하는 내용의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가 되고 ,   디스크 파일은 별도 미디어 설정에서 관리가 되지만 VM 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만든 디스크는 VM 저장경로에 함께 생성 되어있어 사용자가 파일탐색기로 경로를 찾아가보면 파일의 사이즈로 아 이것이 디스크 파일인가보구나 하고 알 수 있습니다 .( 용량이 크고 ...

MJ. 로또의 회차별 당첨번호 API 확인 (예제포함)

안녕하세요, MJ 입니다.   로또 당첨번호를 확인하기위해 동행복권 사이트를 찾아 가거나,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을 할 수 있지만, 다음 주소를 브라우저에 붙여넣거나, curl 명령을 이용하여 터미널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소개를 드리려고 합니다.     < URL> https://www.dhlottery.co.kr/common.do?method=getLottoNumber&drwNo= < 회차번호 >     - API 주소 활용 방법 브라우저에 URL 입력하여 확인 .           >> 인터넷 주소창에 URL 을 입력       ( 윈도우 ) cmd / ( 리눅스 ) bash 터미널에서 curl 을 사용하여 확인 .( 예 : 123 회차 ) >> curl " https://www.dhlottery.co.kr/common.do?method=getLottoNumber&drwNo= 123 " <cmd>   <bash>         python/java/c 등 코드를 만들어서 확인 . >> 코드를 짜서 확인하는 것이 , 데이터를 가공하기도 좋고 , 앞으로 출현할 숫자를 분석하기도 좋지만 , 자신이 원하는 대로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필요함 .       [ (API 결과 예시 ) 123 회차 조회결과 ] >> json 형식으로 공백 , 줄바꿈이 없이 순서도 제멋대로 확인되지만 (브라우저나 터미널에서 확인하면),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확인됨 .   <확인한 정보 줄맞춰봄> #######...